전체 글

신 기술이 항상 나오는 이 시대에 기초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항상 이에 적응하기 위해 기초를 쌓으려 배움을 기록하는 장소입니다.
·잡다 지식
제목 : 동시성 (concurrency) 는 무엇일까?이 글을 작성하게 된 계기프로세스와 스레드의 관계, 그리고 이들을 이루는 정보의 집합을 알아보았으며,또한, OS 스레드와 사용자 라이브러리 스레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나는 이전에 "프로세스와 스레드" 주제로 글을 다루었는데,이전에 운영체제에 대해 갖고 있던 잘못된 편견이 바로,"프로세스가 할당된 프로세서는 해당 프로세스만 실행한다" 였다.본래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시간 분할 실행은 확실하게 맞는 표현이지만,이는 물리적으로 1 개의 프로세서만 존재 할 때의 일이라는 것이다.실제로는, 운영체제를 관장하는 "커널 (Kernel)" 이,하나의 프로세스에 할당된 많은 스레드들을 감지하여, 이를 여러 프로세서에 나누어서 실행 해 준다.즉, 현재 멀티..
제목 : HTML 문서 태그 "전부" 공부하기 - 5편이전 편인 4 편의 주소https://codecreature.tistory.com/221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HTML 태그를 "전부" 다루기 위해 1 편부터 4편 까지 달려왔다..태그 정의, 태그 예시, 태그 실제 표현 예시, 동적 스크립트이를 전부 구현 및 작성한다는 것은 정말 쉽지는 않은 일이었다. (태그가 많아서)일반적으로 상황에 맞게 자주 사용되는 태그들이 존재하는데,나는 JS 는 잘 사용하지만, 시멘틱 태그 자체에는 약해서 공부를 하게 되었었다.그렇다면, "나는 HTML 태그를 잘 알고 있느냐?" 라는 질문이 스스로에게 떠오른다..정말로 "모든" 태그를 다루고 있기에 힘들게 공부했지만, 자만하지 않고서로 정반대의 대답을 해 보도록 하자.- 나..
제목 : HTML 문서 태그 공부하기 - 4편3편 주소https://codecreature.tistory.com/219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 :웹 페이지 개발에 있어 포텐셜을 높이기 위해, 웹 제작에 사용되는 태그들을 "모두" 익히고자시작한 프로젝트이다.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진 태그들을 "모두" 배우고 이를 실현 해 보며,나중에 어떻게 사용할지도 생각하며 작성하고 있다.솔직히 말해서이렇게까지 오래 걸릴 줄은 몰랐다.. 한 길어야 3 편 정도를 작성하겠지? 했는데아마 현재 작성하고 있는 4 편까지 포함해서, 5 편까지 나올 것 같다..현재까지 작성 완료한 카테고리 목록은Basic HTML - 기본적인 HTML 태그들Formatting - 형식 조작 태그들Forms and Input - 폼과 입력 태그들Fra..
제목 : C 와 최소한의 Lib 로 알고리즘 풀어보기 도전이 도전을 하는 계기수많은 언어와 라이브러리들은 매우 간편하다.수많은 언어들은 자체적인 GC(Garbage Collector) 를 갖추고, 특정 언어들은 자체적인 VM 을 갖춰서 실행한다.이 과정에서 우리는 메모리 관리를 딱히 할 필요가 없으며, 수 많은 타입과 데이터셋에 대한 자체적인 라이브러리를 지원한다.간편한 언어의 접근성과, 대중적인 라이브러리의 조합은 "프레임워크" 로 탄생했고, 비즈니스 논리에 집중 할 수 있게 해 주었다.나는 대학교 재학 시절 C 언어를 배우고, Java 언어를 배웠으며, 웹 개발을 위해 JavaScript 를 접하게 되었다.그리고 프로그래머스 풀스택 부트캠프를 통해 JavaScript 로 작성되는 백엔드 개발을 프로젝..
제목 : HTML 문서 태그 공부하기 - 3편2편 글 주소https://codecreature.tistory.com/218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나는 정식 스펙상에 존재하는 "모든" HTML 태그들을 공부하고 있다.이는 어찌 보면 미련한 짓일수도 있고, 미친짓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그러나, 앞으로 다양한 웹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는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는데,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해 위 프로그램들의 공식문서를 보며, 공부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그러나, 지속적으로 점유율이 바뀌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살펴보았을 때,내가 적용하고자 하는 웹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가 존재 할 때,이러한 태그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 공식문서에서 간단한 헤더 영역을 만들 때,왜 해당 태그를 사용하는지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공부하고..
제목 : HTML 문서 태그 공부하기 - 2편1편 글 주소https://codecreature.tistory.com/217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위의 1 편 글을 잠깐 살펴보면서 리스트를 보았다면 알겠지만,모든 태그에 대한 의미와 사용처, 그리고 실제 구현까지 살펴보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었다.내가 React 를 통해 처음 웹 개발에 입문하였을 때, 나는 단순히 블럭을 선언하기 위해 를 사용했다.대표적인 태그 몇 개만 사용하며, 클래스로 구분하는 것은 그 때 당시엔 문제가 없었지만,추후 협업이나, 중급에서 고급 수준의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한계가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또한 각 태그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이나, Default 스타일링을 알고 싶었는데,정말 효과적으로 배웠다고 생각한다.옛날 개발..
제목 : HTML 문서 태그 공부하기 - 1편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단순한 웹 페이지를 작성 할 때 뿐만 아니라, html 파일에 들어가는 tag 들을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나는 여태까지, JS 의 방법론 기술들 (React, Webpack, package.json, 등등 수많음)을 그냥 쓰지 않고, 최소한 그 의미를 알고 사용하기 위해서 노력 해 왔다.물론, 같은 맥락에서 보자면, HTML 태그를 단순하게 곧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각 시멘틱 태그의 의미와 사용법을 안다는 취지에서 비슷하다고는 할 수 있다.그러나, 좀 더 엄격하게 바라보자면, 각 태그가 어떻게 프로그래밍적으로 블록을 구성하는지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태그 자체를 알려고 노력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이러한 HTML 태그를 다..
·잡다 지식
제목 : 프로세스와 스레드위의 주제로 글을 작성하게 된 이유프로세스와 스레드는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마다 각각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사용하는 방식이 다르다.심지어는 이 두 개의 리소스를 어떤 인프라 환경에서 사용하게 되냐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되는데,요즘은 Docker 와 k8s(kubernetes) 라는 편리한 컨테이너, 네임스페이스 관리 프로그램이 존재하여우리가 크게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신경 쓸 필요는 없었다.나는 C 언어를 대학교에서 배우고, Java 를 배우게 되었으며, 그 이후 Swift(찍먹),JavaScript, TypeScript (JS 수퍼셋) 을 배우게 되었다.다양한 언어를 접했지만, 이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기기의 환경에 알맞게 실행되게 컴파일 된다는 것 까지만 알았고,GC ..
·잡다 지식
제목 : Domain 과 SSL 에 대하여이 글을 작성하게 된 계기이전에 팀 프로젝트를 수행 할 때, DevOps 역할을 맡았던 내가 골머리를 썩혔던 구간이,바로 Domain 과, SSL 부분이었다.나는 백엔드 서버를 단순 IP 로서 접근하게 만들기보다는,도메인을 통해 정확한 백엔드 서버로 도착하게 만들고 싶었다.그 이유가, NestJS 에서 API 목록 제공 시 사용하는 외부 API 가 Swagger 라는 라이브러리인데,이는 백엔드 루트 주소에서 특정 루트로 입장 시 내가 작성한 API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목록으로 정돈되어 보여주기 때문이었다.나는 AWS EC2 + RDS (MariaDB) 를 사용하였는데,EC2 (Amazon Linux) 를 기반으로 처음부터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Express 어댑..
제목 : 번들러와 Webpack번들러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이유웹 사이트 제작은 수많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로 이루어 질 수 있다.특히, 기존 웹 사이트 개발에 사용하던 단순 JavaScript, CSS 의 단점을 상쇄시킬 수 있는여러 확장자 (EX - .sass, .scss, .jsx, .tsx 등등) 가 탄생했으며,TypeScript 의 적용으로 이 또한 JavaScript 로 변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모듈들 간의 순서, 의존성이다.우리는 현재 JSX, TSX 에서 scss 파일을 import 해오기도 하고,작성된 컴포넌트들이 특정 컴포넌트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는 의존성이라고 부를 수 있다.그렇다면, 엔트리 파일(시작 파일) 인 index.html 에 작성되어야 할..
코딩크리처
코딩크리처